숭실대 심가용 교수, 암에 대항하는 인공면역세포 논문으로 BRIC ‘한빛사’에 선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2-01-11 20:24 조회 364회 댓글 0건
본문
생체재료 과학분야 JCR 랭킹 1위 학술지 ‘Bioactive Materials(IF 14.593)’에 논문 게재
[에너지경제신문 송기우 에디터]
숭실대학교(총장 장범식)는 자연과학대학 의생명시스템학부 심가용 교수(사진)가 「바이오액티브 머티리얼스 Bioactive materials, 피인용지수 14.593」에 게재한 인공면역세포 논문으로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가 주관하는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심가용 교수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오유경교수 연구팀과 최근 바이오액티브 머티리얼스에 <DNA 핵산 소재 인공 수지상 세포를 통한 세포독성 T세포의 원위치 자극과 면역치료 (DNA-based artificial dendritic cells for in situ cytotoxic T cell stimulation and immunotherapy)>를 게재했다. 해당 저널은 생체재료 과학분야(Material science, biomaterials)에서 JCR(Journal Citation Report) 랭킹 1위에 해당하는 학술지이다.
‘세포독성 T세포’는 항암 면역반응에서 최종적으로 종양세포를 살상하는 역할을 한다.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세포독성 T세포의 경우 항원제시세포로부터 자극을 받아야 활성화된다. 결국, 효과적인 항암면역치료를 위해서는 항원제시세포의 역할이 중요한 것인데, 공동연구팀에 따르면 현재까지 개발된 인공 항원제시세포의 경우 체외(ex vivo)에서만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적용 가능한 항원제시세포의 개발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숭실대·서울대 공동연구팀은 성숙한 수지상 세포(대표적인 항원제시세포)의 나뭇가지 돌기 모양과 유사한 점에 착안해 ‘회전 환 증폭(rolling circle amplification) 기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입자의 뾰족한 표면구조를 가진 인공 수지상세포를 설계했다. 이 인공 수지상 세포는 기존에 개발된 구형의 인공 항원제시세포와 비교할 때 표면 구조 특성으로 인해 실제로 T세포와 더 밀접하게 결합하여 체내에서도 효과적으로 자극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1.11 19:05
관련링크
- 이전글의생명시스템학부 학부생들, SCIE 저널 J Pharm Investig에 논문 발표 22.01.15
- 다음글숭실대학교 씨즌넷 심가용 교수 인터뷰 21.12.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